브란 벤디게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란 벤디게이드는 웨일스 신화 《마비노기온》에 등장하는 인물로, '축복받은 브란'으로 불린다. 그는 아일랜드 왕 마솔루흐와의 동맹을 위해 누이 브란웬을 결혼시키지만, 에프니시엔의 갈등으로 인해 전쟁이 발발한다. 브란은 아일랜드와의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죽기 전 머리를 런던에 묻어 브리튼 섬을 보호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브란은 성배 전설의 어부 왕, 아일랜드 신화의 브란 마크 페발, 역사적 인물 브레누스와의 유사성을 보이며, 현대 문화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이름은 '까마귀'를 의미하며, 중세 웨일스어와 현대 웨일스어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튼인의 신화적 왕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브리튼인의 신화적 왕 - 카라칼라
카라칼라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아들이자 공동 황제로서 권력을 누렸으나 동생 게타를 살해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으며, 자유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안토니누스 칙령을 발표했지만 폭정과 잔혹 행위로 암살당한 로마 황제이다.
| 브란 벤디게이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브란 벤디게이드 / 브란 펜디가이드 |
| 다른 이름 | 브란 복 받은 자 |
| 등장 작품 | 마비노기 브란웬 페르흐 르 |
| 인물 정보 | |
| 종족 | 거인 |
| 성별 | 남성 |
| 배우자 | 미상 |
| 자녀 | 카라독 (아들) |
| 부모 | 르 (아버지), 페나르둔 (어머니) |
| 가족 | 브란웬 (여동생), 마나위단 (남동생), 에프니시엔 (이복 형제), 니시엔 (이복 형제) |
| 친척 | 게르른 (조카), 카스왈론 (사촌), 마솔루흐 (매제) |
| 신화 정보 | |
| 등장 | 프리데인 섬의 삼인조 |
| 국적 | 웨일스인 |
| 기타 | |
![]() | |
2. 마비노기온에서의 역할
브란 벤디게이드는 마비노기온의 두 번째 가지인 〈리르의 딸 브란웬〉의 중심 인물이다.
아일랜드의 왕 마솔루흐는 하를레흐로 항해하여 강대한 섬의 최고 왕 브란 벤디게이드에게 그의 누이 브란웬과의 결혼을 요청, 두 섬 간의 동맹을 맺으려 한다. 브란은 마솔루흐의 요청에 동의한다. 그러나 브란과 브란웬의 이복 형제인 에프니시엔이 결혼 허락을 받지 못한 것에 분노하여 마솔루흐의 말들을 잔혹하게 훼손하면서 축하는 중단된다.[2]
이후, 브란웬은 아일랜드에서 학대를 당하고, 찌르레기를 통해 브란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브란은 군대를 이끌고 브란웬을 구출하러 아일랜드로 간다. 아일랜드인들은 평화를 제안하며 브란을 위한 집을 짓지만, 함정을 파 놓는다. 에프니시엔은 이를 간파하고, 이후 연회에서 궨을 죽이는 등 다시 문제를 일으킨다. 결국 전투가 벌어지고, 에프니시엔은 마법의 솥을 파괴하며 희생한다.
마나위단, 탈리에신, 프라이데리 맙 푸일, 다페드의 왕자 등 단 일곱 명의 남자만이 이 분쟁에서 살아남았고, 브란웬은 슬픔에 심장마비로 죽었다.[3] 치명적인 부상을 입은 브란은 생존자들에게 그의 머리를 잘라 브리튼으로 돌려보내라고 말한다.[3] 7년 동안 일곱 생존자는 브란의 머리가 말을 계속하며 그들을 즐겁게 하는 하를레흐에 머문다. 그들은 나중에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지 못한 채 80년 동안 사는 그왈레스(종종 다페드 해안의 그라스홀름 섬으로 확인됨)로 이동한다. 결국, 헤일린 맙 구윈이 콘월을 향한 홀의 문을 열고 그들에게 닥쳤던 슬픔이 되돌아온다. 지시에 따라 그들은 침묵하게 된 머리를 "백색 언덕"(현재 런던 탑이 있는 곳으로 여겨짐)인 그윈프린으로 가져가 침략을 막기 위해 프랑스를 향하도록 묻는다. 말하는 머리의 이미지는 고대 켈트족의 "머리 숭배"에서 유래한 것으로 널리 여겨지며, 머리는 영혼의 집으로 여겨졌다.[2]
2. 1. 브란웬의 결혼과 갈등의 시작
마솔루흐는 브란 벤디게이드와 대화하기 위해 하를레흐로 항해하여 그의 누이 브란웬과의 결혼을 요청, 두 섬 간의 동맹을 맺으려 한다. 브란은 마솔루흐의 요청에 동의한다.[2] 그러나 브란과 브란웬의 이복 형제인 에프니시엔이 결혼에 대한 허락을 받지 못한 것에 분노하여 마솔루흐의 말들을 잔혹하게 훼손하면서 축하는 중단된다.[2] 이 사건은 아일랜드인들에게 큰 모욕으로 받아들여졌다. 브란은 죽은 자를 되살릴 수 있는 마법의 솥으로 보상하였고, 마솔루흐는 이 선물에 만족하여 브란웬과 함께 아일랜드로 돌아간다.[2]
아일랜드인들은 처음에는 새로운 여왕을 사랑했고, 마솔루흐와 브란웬의 결혼을 축하하며 성에 많은 선물을 가져왔다. 마침내 브란웬은 아들 궨을 낳았고 왕국은 다시 기뻐했다.
2. 2. 브란웬의 고난과 브란의 구출
아일랜드의 왕 마솔루흐는 브란 벤디게이드와 대화하기 위해 하를레흐로 항해하여 강대한 섬의 최고 왕에게 그의 누이 브란웬과의 결혼을 요청, 두 섬 간의 동맹을 맺으려 했다. 브란은 마솔루흐의 요청에 동의했지만, 브란과 브란웬의 이복 형제인 에프니시엔이 결혼 허락을 받지 못한 것에 분노하여 마솔루흐의 말들을 잔혹하게 훼손하면서 축하는 중단된다.[2] 마솔루흐는 브란이 죽은 자를 되살릴 수 있는 마법의 솥으로 보상할 때까지 깊은 모욕감을 느꼈다.마솔루흐의 왕국에서 브란웬은 아들 궨을 낳았지만, 에프니시엔의 모욕은 아일랜드인들 사이에서 계속 분노를 일으켰고, 결국 브란웬은 학대당하고 부엌으로 쫓겨나 매일 구타를 당한다.[2] 그녀는 찌르레기를 길들여 형제 브란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브란은 형제 마나위단과 154개의 칸트레프에서 모은 수많은 전사들과 함께 배를 타고 브리튼에서 그녀를 구하기 위해 아일랜드해를 건너간다.
아일랜드인들은 평화를 제안하고 브란을 접대할 수 있을 만큼 큰 집을 짓지만, 안에는 밀가루가 들어있는 척하는 백 개의 자루를 걸어 놓았지만 실제로는 무장한 전사들을 숨겨놓았다. 에프니시엔은 배신을 의심하여 홀을 정찰하고 전사들의 두개골을 부수어 죽였다. 나중에 연회에서 에프니시엔은 다시 모욕감을 느끼고 궨을 산 채로 태워 죽였고, 맹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아일랜드인들이 솥을 사용하여 죽은 자들을 되살리는 것을 본 에프니시엔은 아일랜드 시체 속에 숨어 있다가 무심코 적에게 솥에 던져진다. 그는 그 안에서 솥을 파괴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희생한다.
2. 3. 에프니시엔의 속죄와 희생
에프니시엔은 브란 벤디게이드를 달래기 위해 아일랜드인들이 지은 거대한 집을 수상하게 여겼다. 집 안에는 밀가루 자루로 위장한 채 무장한 전사들이 숨겨져 있었으나, 에프니시엔은 이를 간파하고 전사들의 두개골을 부수어 모두 죽였다.[2] 그러나 연회에서 에프니시엔은 또다시 모욕감을 느끼고 궨을 산 채로 불태워 죽이는 만행을 저질렀고, 이로 인해 맹렬한 전투가 벌어졌다.아일랜드인들이 마법의 솥을 사용하여 죽은 자들을 되살리는 것을 본 에프니시엔은 자신의 행동이 동족에게 큰 문제를 가져왔음을 깨달았다. 그는 아일랜드 시체 속에 숨어 있다가 적에게 솥에 던져졌고, 솥 안에서 몸을 뻗어 솥을 파괴하고 자신도 희생했다.[2]
2. 4. 브란의 죽음과 머리 전설
브란은 전투 중 발에 독화살을 맞아 치명상을 입었다.[5] 그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머리를 잘라 런던으로 가져가, 런던의 화이트 힐(현재 런던 타워가 있는 곳으로 추정)에 프랑스를 향하게 묻으라고 유언했다.[5] 그의 부하들은 유언에 따라 브란의 머리를 잘라 아일랜드를 떠났다.브란의 머리는 런던에 묻히기 전까지 7년 동안 하를레흐에서, 80년 동안 그왈레스(종종 다페드 해안의 그라스홀름 섬으로 확인됨)에서 생존자들과 함께 하며 말을 하고 그들을 즐겁게 했다.[2] 시간이 흘러 콘월을 향한 문이 열리고 슬픔이 되돌아오자, 브란의 머리는 침묵하게 되었고, 생존자들은 유언대로 머리를 런던에 묻었다.[2]
브란의 머리가 런던의 화이트 힐에 묻혀 프랑스를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브리튼 섬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2] 이는 고대 켈트족의 머리 숭배 사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머리는 영혼의 집으로 여겨졌다.[2]
3. 기타 연관성
웨일스 삼제시에 따르면 브란의 머리는 런던 화이트 타워가 있는 곳에 묻혔으며, 그곳에 머리가 있는 한 브리튼은 침략으로부터 안전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서 왕은 자신의 강력한 힘만이 나라를 보호할 것이라 선언하며 머리를 파냈다.[6] 런던 타워에서 요먼 워더 레이븐마스터의 관리하에 까마귀를 키우는 현대의 관습은 브란의 이야기와 연결되기도 한다. 웨일스어로 브란은 까마귀를 뜻하며, 콘월어와 아일랜드어에서 bran은 갈까마귀를 의미하는 등, 여러 켈트어파에서 이러한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니콜라이 톨스토이 백작은 브란의 원래 기능이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영혼 인도자였다고 제안한다.[9]
3. 1. 아서 왕 전설과의 유사성
몇몇 학자들은 축복받은 브란과 성배의 수호자인 아서 왕 전설의 인물 어부 왕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다. 어부 왕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페르세발, 성배 이야기''에 처음 등장하는데, 다리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지만(브란의 상처는 발에 있었다) 성배의 영향으로 신비로운 성에서 살아남아 퍼시벌에게 치료받기를 기다리고 있다.[7]3. 2. 브란 마크 페발과의 관련성
몇몇 학자들은 벤디게이드브란을 아일랜드 신화의 영웅 브란 마크 페발과 동일시했다.[7]3. 3. 역사적 인물과의 비교
존 T. 코크는 브란과 기원전 3세기에 발칸 반도를 침공한 켈트족 족장 브레누스 사이의 유사성을 제안한다.[8]3. 4. 문화적 영향
브란은 중세 웨일스 시인들의 작품에서 칭송받았으며, 현대 문학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12세기 음유시인 킨델루 브리디드 마우르는 브란을 "적대적인 영토에서, 전투에서, 경쟁에서, 고통 속에서 호스트의 훌륭한 지휘관"으로 묘사했다.[10] 블레드윈 파르드는 웨일스 공작인 루엘린 압 그리피드의 비가에서 그 왕자의 전복을 루엘린 파우르, 아서 왕, 브란의 죽음에 비유했다.[10] 카마르덴의 검은 책에서 발견된 시는 벤디게이드브란의 아일랜드에서의 죽음을 언급하며, 구윈 압 누드가 전사 또는 전통적인 영혼 인도자 역할로 전투에 참여했다고 주장한다.[11]로이드 알렉산더의 소설 시리즈 ''프라이데인의 연대기''는 웨일스 신화를 바탕으로 하며, 그 두 번째 작품은 《검은 솥》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이 소설 시리즈를 느슨하게 기반으로 한 디즈니 영화 ''검은 솥''은 죽은 자를 되살릴 수 있는 솥을 특징으로 한다.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시리즈 ''얼음과 불의 노래''는 브랜든(브란) 스타크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등장인물을 포함한다. 그들 중 다수는 브랜든 더 빌더, 브랜든 더 브레이커, 브랜든 더 쉽라이트, 브랜든 더 버너, 브랜든 더 배드, 브랜든 더 도터리스와 같이 그들의 이름과 일반적으로 연관된 별칭을 가지고 있다. 텔레비전 시리즈 ''왕좌의 게임''은 마틴 소설을 기반으로 한다. 브랜든 스타크 중 한 명은 소설에서는 까마귀와 연관되어 있고, TV 시리즈에서는 갈까마귀와 연관되어 있다.
4. 이름
브란이라는 이름은 웨일스어로는 까마귀, 콘월어와 아일랜드어로는 갈까마귀를 의미한다.[6] 이는 브란이라는 인물의 상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몇몇 학자들은 브란과 아서 왕 전설의 어부 왕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어부 왕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페르세발, 성배 이야기''에 처음 등장하는데, 다리에 상처를 입었지만 성배의 힘으로 살아남아 퍼시벌에게 치료받기를 기다린다. 브란 역시 발에 상처를 입었다는 점에서 어부 왕과 비슷하다. 로베르 드 보롱은 성배의 첫 번째 수호자가 "브론"이었다고 말하며, 웨일스 이야기 ''에프라오그의 아들 페레두르''에서는 주인공이 잘린 인간의 머리를 발견하는데, 이는 브란의 머리와 연결될 수 있다.
존 T. 코크는 신화 속 브란과 기원전 3세기에 발칸 반도를 침공한 켈트족 족장 브레누스가 여러모로 비슷하다고 보았다.[8] 니콜라이 톨스토이 백작은 브란이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으로 안내하는 영혼 인도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9]
브란은 12세기 음유시인 킨델루 브리디드 마우르의 시에서 "훌륭한 지휘관"으로 칭송받았고,[10] 블레드윈 파르드는 루엘린 압 그리피드의 비가에서 그를 루엘린 파우르, 아서 왕, 브란의 죽음에 빗대었다.[10] 카마르덴의 검은 책에 실린 시는 브란의 죽음을 언급하며, 구윈 압 누드가 영혼 인도자로서 전투에 참여했다고 주장한다.[11]
로이드 알렉산더의 소설 ''프라이데인의 연대기''와 이를 원작으로 한 디즈니 영화 ''검은 솥''은 죽은 자를 되살리는 솥을 소재로 하는데, 이는 브란의 솥과 비슷하다.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와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는 브랜든(브란) 스타크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이 중 한 명은 까마귀 또는 갈까마귀와 연결된다.
4. 1. 어원과 표기
《마비노기온》에서 이 인물은 주로 "벤디게이드프란"으로 불리며, 이는 "축복받은 브란"이라는 뜻이다. 중세 웨일스어로는 "Vran" 또는 "Uran"으로 표기되기도 했다.[12]《마비노기온》의 웨일스 신화 텍스트는 14세기와 15세기 사이에 중세 웨일스어로 기록되었다. 그 결과 이름의 철자에 대한 불일치가 발생했는데, 이는 영어 번역본이 중세 웨일스어 철자를 유지하는 반면 현대 웨일스어 버전은 현대 웨일스어 철자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중세 웨일스어에서 브란의 이름에는 약간의 변형이 있었다. 현대 웨일스어에서 ''treiglad meddal''(부드러운 돌연변이)는 Frân이지만, 중세 웨일스어 문서에서는 ''Vran'' 또는 ''Uran''으로 표기될 수 있다(후자는 라틴어에서 U와 V가 동일한 문자를 나타내기 때문에 발생).[12]
《마비노기온》에서 이 인물은 "벤디게이트"(축복받은 또는 칭찬받을 만한)라는 수식어가 붙어 "벤디게이투란"으로 언급된다(최종 D는 웨일스어에서 T와 유사하게 발음되며, 초기 문서에서는 T로도 철자되었다). 유일한 예외는 그의 아들 카라독 압 브란의 부칭과 아일랜드에서 그의 모임에 대한 단일 언급으로, ''Gwledd Brân'', "브란(또는 '까마귀')의 잔치"로 언급된다. 이러한 사용법은 웨일스 삼자에도 적용된다. 벤디게이투란은 현대 웨일스어에서 "벤디게이드프란" 또는 "브란 벤디게이드"가 된다. 벤디게이드프란은 《마비노기온》의 많은 현대 웨일스어 각색본에서 사용되는 형태이다.[12] 그러나 이전의 언급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식어가 포함되지 않고, 대신 인물을 ''브란 밥 르'' 또는 단순히 ''브란''이라고 부른다.[13] 이포르 윌리엄스는 ''벤디게이트''가 《마비노기》가 기록될 당시 구식이 된 단어를 대체하기 위해 늦게 추가된 것이라고 생각했다.[13] "Vran"은 탈리에신 서에 나오는 옛 시에 등장하며,[14], 킨델르 브리디 마우르와 프리디드 어 모흐는 다양한 철자로 자신들의 시에서 여러 번 ''브란 밥 르''를 언급한다. 그러나 블레드윈 바르드는 르웰린 압 그루푸드에 대한 그의 비가에서 "베니게이트란"을 언급하며, "벤디게이트"라는 수식어가 13세기 후반부터 브란에게 붙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3]
콘월의 웨스트 페니위스에서 브란이라는 이름은 콘월 원형 요새인 카에르 브란과 브리톤어 RIALOBRANI CUNOVALI FILI('왕실 까마귀' 아들 '유명한 지도자')를 기록하는 멘 스크리파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지역 지도자가 유명한 영웅인 친파울의 아들의 이름을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4. 2. 콘월과의 연관성
콘월에는 브란과 관련된 지명이 여러 곳 존재하는데, 이는 브란 신앙이 콘월에도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웨일스어 '브란(Bran)'은 까마귀를, 콘월어와 아일랜드어 'bran'은 갈까마귀를 의미한다.[6] 존 T. 코크는 브란과 노퍽 해안의 요새 브란캐스터 사이의 연관성을 제안했으며, 레이첼 브롬위치는 덴비셔의 카스텔 디나스 브란도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7]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Facts on File, Inc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ology
Anness Publishing Ltd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Facts on File, Inc
[4]
서적
Legends of the Celts
HarperCollins Publishers Ltd
2008
[5]
서적
The Legends of the Celts
HarperCollins Publishers Ltd
2008
[6]
문서
Trioedd Ynys Prydein
[7]
문서
Trioedd Ynys Prydein
[8]
문서
Trioedd Ynys Prydein
[9]
문서
The Oldest British Prose Literature: The Compilation of the Four Branches of the Mabinogi
[10]
문서
Trioedd Ynys Prydein
[11]
웹사이트
The Dialogue of Gwyddno Garanhir and Gwyn ap Nudd
http://www.maryjones[...]
[12]
문서
Y Mabinogi
[13]
문서
Trioedd Ynys Prydein
[14]
웹사이트
Kerd Veib am Llyr
http://www.maryjones[...]
2007-02-07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ology
Anness Publishing Ltd
[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